파이오니아 (왕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이오니아는 고대 발칸 반도에 존재했던 왕국으로, 오늘날 북마케도니아, 불가리아, 그리스 북부에 걸쳐 있었다. 파이오니아인들은 다양한 부족들로 구성되었으며, 기원과 언어에 대한 여러 가설이 존재한다. 파이오니아는 페르시아 제국, 마케도니아 왕국과 복잡한 관계를 맺었으며,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군대에 참여하기도 했다. 기원전 3세기부터 갈리아인, 다르다니족의 침략을 받으며 세력이 약화되었고, 결국 로마 제국에 흡수되어 멸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케도니아 왕국 - 헬레니즘 제국
헬레니즘 제국은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 후 헬레니즘 문화가 확산되며 형성된 여러 왕국들로, 대왕 사후 분열되었으나 그리스 문화는 각 지역 문화와 융합하여 발전했고 로마 제국 확장으로 쇠퇴했지만 서양 문명에 큰 영향을 주었다. - 마케도니아 왕국 - 트리파라디소스
트리파라디소스는 디아도코이 왕국 시대의 고대 헬리오폴리스를 지칭하는 이름으로, 로마 제국에 병합된 후 로마 식민지가 되었으며, 바알과 하닷 숭배가 헬리오스와 융합되는 종교적 변화를 겪었다. - 고대 그리스 - 헬레니즘 시대의 그리스
헬레니즘 시대의 그리스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 이후부터 로마에 의한 합병까지의 시기로, 그리스인들의 시야 확장과 새로운 헬레니즘 도시로의 이주, 도시 국가들의 연합 노력, 마케도니아와 후계 왕국들의 패권 다툼, 그리고 로마의 개입과 지배로 특징지어진다. - 고대 그리스 - 고대 그리스어
고대 그리스어는 기원전 1200년경 인도유럽어족에서 분기되어 기원전 8세기부터 그리스 문자로 기록된 언어로, 도리아어, 아이올리아어, 이오니아어, 아티카어 등 여러 방언으로 나뉘며, 현대 그리스어의 기원이자 그리스 문학과 철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쳐 교육 및 학술 분야에서 활용된다. - 유럽의 옛 군주국 - 톨레도 왕국
톨레도 왕국은 이베리아 반도에 존재했던 무슬림 왕국으로, 알폰소 6세에게 정복되어 카스티야 왕국에 합병된 후 레온-카스티야 연합 왕국의 수도가 되었으며, 여러 사건을 거쳐 스페인의 영토 재편 과정에서 폐지되었다. - 유럽의 옛 군주국 - 세르비아 왕국
세르비아 왕국은 19세기 세르비아의 독립 운동으로 성립되어 발칸 전쟁을 통해 영토를 확장했으나, 제1차 세계 대전 중 해체되고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에 통합되었다.
파이오니아 (왕국)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역사 | |
기원 | 기원전 808년 |
멸망 | 기원전 280년 |
지리 | |
주요 지역 | 현재의 북마케도니아 공화국 영토와 대략적으로 일치 |
인접 지역 | |
북쪽 | 다르다니아 |
남쪽 | 마케도니아 왕국 |
동쪽 | 트라키아 |
민족 | |
주요 민족 | 파이오니아인 |
언어 | |
사용 언어 | 파이오니아어 |
문화 | |
종교 | 고대 그리스 종교 |
정치 | |
정부 형태 | 군주제 |
통치자 | |
초기 통치자 | 아기스 1세 |
마지막 통치자 | 리콘 |
2. 파이오니아 부족
파이오니아에는 여러 부족이 있었다.[9][10][11][12][13][14][15][16] 이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주요 부족"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2. 1. 주요 부족
파이오니아의 주요 부족은 다음과 같다.- 아그리아네스[9] (아그리아니, 아그리이 라고도 불림. 트라키아 부족이라는 주장도 있음.)
- 알모피안족[10] (알모피오이 라고도 불림)
- 라에아안족[9] (라에아이, 라이아이 라고도 불림)
- 데로네스[11] (데로니 라고도 불림. 트라키아 부족이라는 주장도 있음.)
- 오도만테스[12] (오도만티 라고도 불림. 트라키아 부족이라는 주장도 있음.[13])
- 파에오플라에[14]
- 도베레스[15]
- 시로파이오네스[16]
3. 파이오니아의 기원
고대 그리스 문학에는 파이오니아인에 대한 언급이 비교적 적다.[24] 파이오니아인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존재한다.
다리우스 1세 통치 이전, 파이오니아인들은 트라키아의 프로폰티스에 있는 페린토스까지 동쪽으로 진출했다. 한때 미그도니아 전체가 크레스토니아와 함께 그들의 지배를 받았다. 크세르크세스 1세가 테르마로 가는 길에 할키디케를 건널 때, 그는 파이오니아 영토를 통과했다고 한다. 그들은 바르다르 강, 즉 악시오스 계곡 전체를 스토비까지 내륙으로 점령했으며, 그 동쪽 계곡은 스트리몬 강까지, 그리고 아스티부스와 같은 이름의 강 주변 지역을 점령했는데, 그들은 그 물로 왕에게 기름을 발랐다. 할리아크몬 강과 악시오스 강 사이의 지역인 에마티아는 한때 파이오니아라고 불렸고, 피에리아와 펠라고니아에는 파이오니아인들이 거주했다.
이후 마케도니아의 세력이 성장하고 트라키아 이웃들의 압력으로 인해, 파이오니아인들의 영토는 상당히 축소되었고, 역사 시대에는 마케도니아 북부에서 일리리아에서 스트리몬 강까지로 제한되었다.
3. 1. 다양한 기원설
고대 그리스 문학에서 파이오니아인에 대한 언급은 많지 않다.[24] 현대 학자들은 파이오니아인을 일리리아인,[17][18] 프리기아인,[17][18] 트라키아인[17][18] 또는 이들의 혼혈로 보기도 한다. 그러나 일부 파이오니아 지명과 인명은 그리스어 계통이다(Lycceius, Ariston, Audoleon).[19][20]일부 학자들은 파이오니아인이 그리스에서 기원했다고 주장한다.[21] 라도슬라프 카티치치는 파이오니아인들이 "대 그리스 이주"에 참여했다가 도중에 남았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보았다.[22] 언어학적으로 볼 때, 극소수 남아있는 파이오니아어 단어들은 일리리아어와 트라키아어,[23][24] 그리고 그리스어와도 관련이 있다. 하지만 지리적으로 가까웠기 때문에 일리리아어와 트라키아어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23][24]
아그리아네스를 포함한 여러 동부 파이오니아 부족들은 트라키아의 영향권 아래에 있었다. 그러나 민족 전설에 따르면,[25] 이들은 트로이에서 온 테우크리아인 식민지였다. 호메로스는[26] 악시오스 강의 파이오니아인들이 트로이인 편에서 싸웠다고 기록했지만, ''일리아스''는 파이오니아인과 트로이인의 친족 관계는 언급하지 않고, 대신 프리기아인과 연결한다.[21]
헤로도토스와 투키디데스는 파이오니아인과 트라키아인을 구분한다.[21] 아피아노스는 파이오니아인의 시조인 파이온이 아우타리에우스의 아들이며, 그가 스코르디스코스(켈트족)와 트리발로스(트라키아인)의 아버지라는 계보를 기록했다. 이는 파이오니아인을 일리리아계와 연결할 수 있지만, 카티치치의 주장처럼 아피아노스가 파이오니아인이 아닌 판노니아인을 언급했을 가능성도 있다.[21] 파우사니아스는 파이오니아인을 펠로폰네소스의 에페이아인과 연결하는 다른 계보를 제시하며, 파이온은 엔디미온의 아들이자 에페이오스와 아이톨로스의 형제라고 한다.[21][19][27] 이 기록은 파이오니아인과 그리스의 관계를 보여준다.[21] 호메로스는 파이오니아의 지도자를 피라에크메스(출생 미상)라고 불렀고, ''일리아스''(21권)에서는 펠라곤의 아들 아스테로파이오스를 두 번째 지도자로 언급한다.
4. 파이오니아 신화
트로이 전쟁에서 파이오니아인들은 "활을 묶어놓은" 형태로, 피라이크메스와 아스테로파에우스 왕 아래에서 트로이의 동맹군으로 참전하였다.[28]
4. 1. 엔디미온과 파에온
그리스 신화에서 파에오니아인들은 파에온의 아들 엔디미온에서 이름을 따왔다고 전해진다.[28] 엘리스의 엔디미온은 달의 여신 셀레네의 연인이었으며, 파에온, 에페이오스, 아이톨로스 세 아들을 두었다. 엔디미온은 왕국을 아들 중 하나에게 물려주기 위해 올림피아에서 경주를 시켰고, 에페이오스가 우승하여 왕국을 차지했다. 파에온은 이에 실망하여 아시우스 상류 계곡으로 떠나 정착했고, 그곳은 이후 파에오니아라고 불리게 되었다.트로이 전쟁에서 "활을 묶어놓은" 파에오니아인들은 "말꼬리 깃털이 달린 헬멧"을 쓰고, 왕 피라이크메스와 아스테로파에우스 아래에서 트로이의 동맹군으로 참전하였다.
5. 파이오니아 왕국
초기 파이오니아 왕국의 수도는 바르다르 강변의 빌라조라(오늘날 북마케도니아 스베티 니콜레)였으며, 이후 스토비(오늘날 그라드스코 근처)로 옮겨졌다.[29]
그리스-페르시아 전쟁 이후, 파이오니아 공국들은 오늘날 북마케도니아 북부와 불가리아 서부에 해당하는 아키오스 강과 스트리몬 강 중상류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왕국으로 통합되었다. 파이오니아인들은 마케도니아 왕국 북부를 공격하기 위해 일리리아인과 연합하기도 했다.
페르디카스 3세가 사망하면서 마케도니아 왕가는 혼란에 빠졌지만, 그의 형제 필리포스 2세가 왕위를 계승하여 군대를 개혁하고(팔랑크스를 제공) 일리리아인의 침공과 파이오니아의 습격을 "마케도니아 국경"에서 막았다. 필리포스 2세는 기원전 358년에 파이오니아로 깊숙이 진격하는 원정을 벌여[32][33][34][35][36][37] 아기스 왕이 다스리던 파이오니아 왕국을 반(半)자주적인 종속 상태로 축소시켰다. 이로 인해 파이오니아인들은 점차 헬레니즘화되었으며, 필리포스 2세 치세 동안 마케도니아와 같은 그리스 문자가 새겨진 동전을 발행하기 시작했다.
페르시아 제국 침략 당시, 스트리몬 강 하류의 파이오니아인들은 영토 통합성을 잃었지만, 북쪽의 파이오니아인들은 이를 유지했다. 파이오니아 왕 아울레온의 딸은 에피루스 왕 피로스의 아내였으며,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그의 누이 키나네를 필리포스 2세에게 충성을 보인 아그리아니 왕 랑가루스에게 주려 했다.
5. 1. 초기 역사
초기 파이오니아 왕국의 주요 도시이자 수도는 바르다르 강변의 빌라조라(오늘날 북마케도니아 스베티 니콜레)였으며, 이후 스토비(오늘날 그라드스코 근처)로 옮겨졌다.[29]
다리우스 1세가 513년에 시작한 페르시아 군사 작전으로 파이오니아인들이 정복되었다. 다리우스는 거대한 아케메네스 군대를 이끌고 발칸 반도를 침공하여 도나우강 북쪽의 스키타이인을 격파하려 했다.[29] 다리우스의 군대는 여러 트라키아 민족과 오늘날의 불가리아, 루마니아, 우크라이나, 러시아 등 유럽 흑해 지역과 인접한 거의 모든 지역을 정복한 후 소아시아로 돌아갔다.[29][30] 다리우스는 메가바주스에게 발칸 반도 정복 임무를 맡기고 유럽에 남겨두었다.[29] 페르시아 군대는 금이 풍부한 트라키아, 해안 그리스 도시를 정복하고, 파이오니아인을 격파했다.[29][31]
그리스-페르시아 전쟁 이후, 파이오니아 공국들은 아키오스 강과 스트리몬 강의 중상류 지역(오늘날 북마케도니아 북부와 불가리아 서부)을 중심으로 하는 왕국으로 통합되었다. 파이오니아인들은 마케도니아 왕국 북부를 공격하기 위해 일리리아인과 연합했다. 해적 문화를 가진 일리리아인들은 이 지역 통과로가 막히면 무역로에서 단절되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마케도니아 북부 방어선 공격은 실패했다. 기원전 360–359년, 남부 파이오니아 부족은 일리리아 침공을 지원하며 마케도니아를 습격했다.
페르디카스 3세의 죽음으로 마케도니아 왕가는 불확실성에 빠졌지만, 그의 형제 필리포스 2세가 왕위를 계승하여 군대를 개혁하고(팔랑크스를 제공) "마케도니아 국경"에서 일리리아 침공과 파이오니아 습격을 막았다. 그는 기원전 358년에 파이오니아로 진격하는 원정을 벌였다.[32][33][34][35][36][37] 이로 인해 파이오니아 왕국(아기스 통치)은 반자주적인 종속 상태로 축소되었고, 필리포스 2세 치세 동안 그리스 문자가 새겨진 동전을 발행하기 시작하면서 파이오니아인들의 점진적이고 공식적인 헬레니즘화가 이루어졌다. 아리스톤이 이끄는 파이오니아 분견대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군대에 배속되었다.
페르시아 제국 침략 당시, 스트리몬 하류의 파이오니아인들은 영토 통합성을 잃었지만, 북쪽의 파이오니아인들은 유지했다. 아울레온의 딸은 에피루스 왕 피로스의 아내였으며,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그의 누이 키나네를 랑가루스에게 주려 했다.
5. 2. 페르시아 전쟁과 파이오니아
기원전 513년, 다리우스 1세는 아케메네스 군대를 이끌고 발칸 반도를 침공하여 도나우강 북쪽의 스키타이인을 격파하려 했다.[29] 다리우스의 군대는 여러 트라키아 민족을 정복했고, 오늘날의 불가리아, 루마니아, 우크라이나, 러시아 등 유럽 흑해 지역과 인접한 거의 모든 지역을 정복한 후 소아시아로 돌아갔다.[29][30] 다리우스는 메가바주스라는 지휘관을 유럽에 남겨 발칸 반도 정복 임무를 맡겼다.[29] 페르시아 군대는 금이 풍부한 트라키아, 해안 그리스 도시를 정복했으며, 파이오니아인을 격파하고 정복했다.[29][31]
그리스-페르시아 전쟁 이후, 파이오니아 공국들은 오늘날 북마케도니아 북부와 불가리아 서부에 해당하는 아키오스 강과 스트리몬 강 중상류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왕국으로 통합되었다. 이들은 마케도니아 왕국 북부를 공격하기 위해 일리리아인과 연합했다. 해적 문화를 가진 일리리아인들은 이 지역 통과로가 막히면 일부 무역로에서 단절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들은 마케도니아 영토 북부 방어선을 성공적으로 공격하지 못했다. 기원전 360–359년, 남부 파이오니아 부족은 일리리아 침공을 지원하며 마케도니아를 습격했다.
페르디카스 3세의 죽음으로 마케도니아 왕가는 불확실성에 빠졌지만, 그의 형제 필리포스 2세가 왕위를 계승하여 군대를 개혁하고(팔랑크스를 제공) 일리리아 침공과 파이오니아 습격을 "마케도니아 국경"에서 막았다. 이곳은 그가 자신의 영토로 방어하려는 북쪽 경계였다. 그는 기원전 358년에 페르디카스의 성공을 따라 파이오니아로 깊숙이 진격하는 원정을 벌였다.[32][33][34][35][36][37] 이로 인해 파이오니아 왕국(당시 아기스 통치)은 반자주적인 종속 상태로 축소되었으며, 필리포스 2세 치세 동안 마케도니아와 같은 그리스 문자가 새겨진 동전을 발행하기 시작한 파이오니아인들의 점진적이고 공식적인 헬레니즘화가 이루어졌다. 아리스톤이 이끄는 파이오니아 분견대는 알렉산드로스 대왕 군대에 배속되었다.
페르시아 제국 침략 당시, 스트리몬 하류의 파이오니아인들은 영토 통합성을 잃었지만, 북쪽의 파이오니아인들은 이를 유지했다. 파이오니아 왕 아울레온의 딸은 에피루스 왕 피로스의 아내였으며,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그의 누이 키나네를 필리포스 2세에게 충성을 보인 아그리아니 왕 랑가루스에게 주려 했다.
다리우스 1세는 기원전 511/2년에 파에오니아를 정복했다.[29][54] 크세르크세스 1세는 기원전 481년 그리스 침공을 위해 파에오니아인들을 페르시아 군대에 포함시켰다.[55] 시탈케스는 기원전 429년에 마케도니아 원정에 아그리아네스와 라에아인들을 포함시켰다.[56]
5. 3. 마케도니아와의 관계
초기 파이오니아 왕국의 수도는 바르다르 강변의 빌라조라(오늘날 북마케도니아 스베티 니콜레)였으며, 이후 스토비(오늘날 그라드스코 근처)로 옮겨졌다.[29]그리스-페르시아 전쟁 이후, 파이오니아 공국들은 오늘날 북마케도니아 북부와 불가리아 서부에 해당하는 아키오스 강과 스트리몬 강 중상류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왕국으로 통합되었다. 파이오니아인들은 마케도니아 왕국 북부 지역을 공격하기 위해 일리리아인과 연합했다. 해적 문화를 가진 일리리아인들은 이 지역을 통과하는 길이 막히면 일부 무역로에서 단절될 수 있었다. 그들은 마케도니아 영토 북부 방어선을 공격했으나 실패했다. 기원전 360–359년, 남부 파이오니아 부족들은 일리리아의 침공을 지원하며 마케도니아를 습격했다. (디오도루스 XVI. 2.5)
페르디카스 3세의 죽음으로 마케도니아 왕가는 혼란에 빠졌지만, 그의 형제 필리포스 2세가 왕위를 계승하여 군대를 개혁하고(팔랑크스를 도입) "마케도니아 국경"에서 일리리아의 침공과 파이오니아의 습격을 저지했다. 이곳은 그가 방어하려는 북쪽 경계였다. 필리포스 2세는 기원전 358년에 페르디카스 3세의 뒤를 이어 파이오니아 깊숙이 진격하는 원정을 벌였다.[32][33][34][35][36][37] 이로 인해 파이오니아 왕국(당시 아기스가 통치)은 반(半)자주적인 종속 상태로 축소되었고, 필리포스 2세 치세 동안 파이오니아인들은 점진적이고 공식적인 헬레니즘화를 겪으며 마케도니아와 같은 그리스 문자가 새겨진 동전을 발행하기 시작했다. 아리스톤이 이끄는 파이오니아 분견대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군대에 배속되었다.
페르시아 제국 침략 당시, 스트리몬 하류의 파이오니아인들은 영토의 통합성을 잃었지만, 북쪽의 파이오니아인들은 이를 유지했다. 파이오니아 왕 아울레온의 딸은 에피루스 왕 피로스의 아내였으며,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그의 누이 키나네를 필리포스 2세에게 충성을 보인 아그리아니 왕 랑가루스에게 주려 했다.
5. 4. 파이오니아 왕
초기 파이오니아 왕국의 수도는 바르다르 강변의 빌라조라(오늘날 북마케도니아 스베티 니콜레)였으며, 이후 스토비(오늘날 그라드스코 근처)로 옮겨졌다.[29]
그리스-페르시아 전쟁 이후, 파이오니아 공국들은 아키오스 강과 스트리몬 강의 중상류 지역(오늘날 북마케도니아 북부와 불가리아 서부)을 중심으로 왕국을 이루었다. 이들은 마케도니아 왕국 북부를 공격하기 위해 일리리아인과 연합하기도 했다.[31] 기원전 360–359년에는 남부 파이오니아 부족이 일리리아 침공을 지원하며 마케도니아를 습격했다.
페르디카스 3세 사후 마케도니아 왕가가 혼란에 빠졌으나, 그의 형제 필리포스 2세가 왕위를 계승하여 군대를 개혁하고(팔랑크스를 도입) 일리리아와 파이오니아의 침공을 막았다. 그는 기원전 358년 파이오니아로 진격하여 아기스 왕이 다스리던 파이오니아 왕국을 반(半)자주적인 종속 상태로 만들었다. 이로 인해 파이오니아인들은 점차 헬레니즘화되었고, 필리포스 2세 시대에는 그리스 문자가 새겨진 동전을 발행하기 시작했다. 아리스톤이 이끄는 파이오니아 분견대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군대에 배속되기도 했다.
페르시아 제국 침략 당시, 스트리몬 하류의 파이오니아인들은 영토를 잃었지만, 북쪽의 파이오니아인들은 영토를 유지했다. 파이오니아 왕 아울레온의 딸은 에피루스 왕 피로스의 아내였으며,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그의 누이 키나네를 랑가루스에게 주려 했다.

이름 | 재위 기간 |
---|---|
아기스 | 기원전 358년 사망 |
리케시우스 | 기원전 356–340년[38] |
파트라우스 | 기원전 340–315년 |
아우돌레온 | 기원전 315–285년[39], 파트라우스의 아들 |
아리스톤 | 기원전 286–285년[40], 아우돌레온의 아들 |
레온 | 기원전 278–250년[41] |
드로피온 | 기원전 250–230년[41], 레온의 아들 |
바스타레우스 | ?–? BC |
주요 계보
- 아기스: 파이오니아 왕국 건국, 마케도니아 왕위 찬탈 시도.[42]
- 리케시우스: 기원전 356년 그라보스 2세 및 트라키아와 함께 반 마케도니아 동맹 결성.[43]
- 파트라우스
- 아우돌레온: 아우타리아테에게 어려움을 겪었으나 카산드로스에게 구원받음.[44]
- 아리스톤[40]
- 레온: 기원전 280/279년 갈리아 침략 이후 잃어버린 땅 회복.[41]
- 드로피온: 기원전 230년 마지막으로 알려진 파이오니아 왕, 쇠퇴하는 왕국의 왕.[41]
기타
이름 | 재위 기간 | 비고 |
---|---|---|
피그레스 | 기원전 511년 | 다리우스 1세에게 해안 파이오니아인들을 아시아로 추방하도록 설득한 두 명의 폭군 형제 중 한 명.[45] |
만티스 | 기원전 511년 | 다리우스 1세에게 해안 파이오니아인들을 아시아로 추방하도록 설득한 두 명의 폭군 형제 중 한 명.[45] |
도키단 | 기원전 6세기 | 데로네스 출신[46] |
도킴 | 기원전 6세기 | 데로네스 출신[46] |
에우에르게테스 | 기원전 480–465년경 | 그의 주화에서만 알려짐[47] |
테우타오스 | 기원전 450–435년경 | 그의 주화에서만 알려짐[48] |
바스타레우스 | 기원전 400–380/78년경 | 그의 주화에서만 알려짐[49] |
테우타마도 | 기원전 378년부터 359년까지 | 그의 주화에서만 알려짐[50] |
심논 | 기원전 348년부터 336년까지 | 필리포스 2세의 동맹[51] |
니카르코스 | 기원전 335년부터 323년까지 | 심논의 아들[51] |
랑가루스 | 아그리아네스 출신; 기원전 335년 알렉산드로스 대왕과 동맹하여 아우타리아테의 영토를 침공.[52] | |
디플라이오스 | 기원전 330년경 | 아그리아네스 출신[53] |
디다스 | 기원전 215년부터 197년까지 | 필리포스 5세와 4,000명의 전사로 동맹[46] |
6. 파이오니아의 문화
파이오니아인들은 여러 독립적인 부족으로 구성되었으나, 이후 단일 왕의 통치 아래 통합되었다. 이들의 풍습과 관습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아테나이오스는 파이오니아어와 미시아어 사이의 유사성을 언급했다. 파이오니아인들은 보리 맥주와 식물, 허브로 만든 다양한 달인 물을 마셨다. 파이오니아는 금이 풍부했고, tanrivoc|타느리보츠mis(또는 tsarivos|차리보스mis)라고 불리는 역청질 나무(또는 돌, 물과 접촉하면 불이 붙는)가 있었다.
파이오니아 여성들은 근면함으로 유명했다. 헤로도토스는[57] 페르시아 제국의 다리우스 1세가 사르디스에서 머리에 물통을 이고 말을 물을 먹이며 동시에 아마를 잣는 아름다운 파이오니아 여성을 보고 그녀가 누구인지 물었고, 파이오니아인이라는 정보를 얻은 후 트라키아의 지휘관 메가바주스에게 명하여 두 부족을 아시아로 이주시켰다고 전한다.
올림피아에서 1877년에 발견된 조각상 기단에는 파이오니아인 공동체가 그들의 왕이자 창시자인 드롭피온을 기리기 위해 세웠다는 비문이 새겨져 있다. 아테네에서 발견된 동맹 조약 관련 비문 파편에 나오는 리페이우스는 파이오니아 동전에 나오는 리케이우스 또는 리케페이우스와 동일인으로 추정된다.[58]
6. 1. 종교
파이오니아인들은 디오니소스를 숭배했으며, 그들 사이에서는 '디알루스'(Dyalus) 또는 '드라이알루스'(Dryalus)로 알려졌다. 헤로도토스는 트라키아인과 파이오니아 여성들이 여왕 아르테미스(아마도 벤디스)에게 제물을 바쳤다고 언급했다. 그들은 태양을 작은 둥근 원반 형태로 숭배했는데, 기둥 꼭대기에 고정되어 있었다.[57]6. 2. 언어
고대 그리스 문학에서 파이오니아인에 대한 언급은 많지 않다.[24] 일부 현대 학자들은 파이오니아인이 일리리아인, 프리기아인, 트라키아인 또는 혼혈 출신이라고 생각한다.[17][18] 그러나 일부 파이오니아 지명과 인명은 그리스어 계통이다(Lycceius, Ariston, Audoleon).[19][20]언어학적으로 볼 때, 남아있는 파이오니아어 단어는 매우 적어 일리리아어와 트라키아어(그리고 그 사이의 트라코-일리리아어 혼합)는 물론 그리스어와도 관련이 있지만, 지리적 근접성 때문에 일리리아어와 트라키아어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23][24] 아그리아네스를 포함한 여러 동부 파이오니아 부족들은 트라키아의 영향권에 있었다. 그러나 민족 전설에 따르면,[25] 그들은 트로이에서 온 테우크리아인 식민지였다. 호메로스[26]는 악시오스에서 온 파이오니아인들이 트로이인 편에서 싸웠다고 말하지만, ''일리아스''는 파이오니아인이 트로이인과 친족인지 여부를 언급하지 않고 대신 그들을 프리기아인과 연결한다.[21]
파이오니아어의 잔재가 부족하여 확정적인 판단을 내리기는 어렵다. 빌헬름 토마셰크와 파울 크레치머는 파이오니아어가 일리리아어 계통에 속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디미타르 데체프는 트라키아어와의 유사성을 주장한다. 그러나 파이오니아 왕들은 필리포스 2세 시대부터 그리스어로 된 이름을 새긴 동전을 발행했다. 파이오니아 왕들의 이름(아기스, 아리스톤, 아우돌레온, 리케이우스 등)은 그리스어와 관련이 있으며, 이는 어윈 L. 머커에 따르면 일리리아어 및 트라키아어와의 연관성에 대한 이론에 의문을 제기한다.
6. 3. 기타 문화
파이오니아인들은 여러 독립적인 부족으로 구성되었으나, 이후 단일 왕의 통치 아래 통합되었다. 이들의 풍습과 관습은 많이 알려져 있지 않다. 이들은 디오니소스 숭배를 받아들였으며, 디오니소스는 그들 사이에서 '디알루스(Dyalus)' 또는 '드라이알루스(Dryalus)'로 알려졌다. 헤로도토스는 트라키아인과 파이오니아 여성들이 여왕 아르테미스(아마도 벤디스)에게 제물을 바쳤다고 언급했다. 이들은 태양을 작은 둥근 원반 형태로 숭배했으며, 이 원반은 기둥 꼭대기에 고정되어 있었다. 아테나이오스의 한 구절은 파이오니아어와 미시아어 사이의 유사성을 시사한다. 이들은 보리 맥주와 식물, 허브로 만든 다양한 달인 물을 마셨다. 파이오니아는 금이 풍부했고, tanrivoc|타느리보츠mis(또는 tsarivos|차리보스mis)라고 불리는 역청질 나무(또는 돌, 물과 접촉하면 불이 붙는)가 있었다.파이오니아어에 대해서는 자료가 부족하여 확실한 판단을 내리기 어렵다. 빌헬름 토마셰크와 파울 크레치머는 파이오니아어가 일리리아어 계통에 속한다고 주장한 반면, 디미타르 데체프는 트라키아어와의 유사성을 주장했다. 그러나 파이오니아 왕들은 마케도니아의 필리포스 2세 시대부터 그리스어로 된 이름을 새긴 동전을 발행했다. 파이오니아 왕들의 이름(아기스, 아리스톤, 아우데온, 리케이우스 등)은 모두 그리스어와 관련이 있어, 어윈 L. 머커는 일리리아어 및 트라키아어와의 연관성에 의문을 제기한다.
파이오니아 여성들은 근면함으로 유명했다. 헤로도토스는[57] 페르시아 제국의 다리우스 1세가 사르디스에서 머리에 물통을 이고, 말을 물을 먹이고, 동시에 아마를 잣는 아름다운 파이오니아 여성을 보고 그녀가 누구인지 물었고, 파이오니아인이라는 정보를 얻은 후, 트라키아의 지휘관 메가바주스에게 지시하여 두 부족을 아시아로 이주시켰다고 기록했다. 올림피아에서 1877년에 발견된 조각상의 기단에는 파이오니아인 공동체가 그들의 왕이자 창시자인 드롭피온을 기리기 위해 세웠다는 비문이 새겨져 있다. 아테네에서 발견된 동맹 조약 관련 비문 파편에 리페이우스로 나타나는 또 다른 왕은 파이오니아 동전에 나오는 리케이우스 또는 리케페이우스와 동일인으로 추정된다.[58]
7. 파이오니아의 멸망
파에오니아는 기원전 217년, 마케도니아 왕 필리포스 5세에 의해 마케도니아 제국에 통합되었다. 필리포스 5세는 다사레티아와 파에오니아의 분리된 지역을 병합하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기원전 168년, 로마 군단이 마케도니아를 정복하면서 파에오니아는 로마의 지배 하에 놓이게 되었다. 로마는 마케도니아를 정복한 후, 이 지역에 새롭고 더 큰 로마 마케도니아 속주를 설치했다. 악시오스 주변의 파에오니아는 이 속주의 두 번째와 세 번째 구역을 형성했다. 수세기 후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 시기에 파에오니아와 펠라고니아는 일리리쿰 관할구에 속하는 마케도니아 세쿤다 (마케도니아 살루타리스)라는 속주를 형성했다.[1]
7. 1. 켈트족의 침입
기원전 280년, 브렌누스가 이끄는 갈리아 침략자들이 파에오니아 땅을 유린했다. 다르다니족의 압박을 더욱 심하게 받으면서, 파에오니아인들은 마케도니아인과 연합하는 것 외에는 다른 선택지가 없었다. 그러나 연합 노력에도 불구하고, 파에오니아인과 마케도니아인은 패배했다. 발칸에 대한 켈트족의 침략으로 마케도니아와 파에오니아의 국력이 약해진 후, 이 지역에서 다르다니족의 정치적, 군사적 역할이 커지기 시작했다. 그들은 파에오니아 지역까지 그들의 국가를 확장했고, 파에오니아는 역사에서 완전히 사라졌다. 기원전 230년 롱가루스가 이끄는 다르다니족은 파에오니아인으로부터 빌라조라를 점령했다.[1]7. 2. 다르다니족의 공격
기원전 280년, 갈리아 침략자들이 브렌누스의 지휘 아래 파에오니아 땅을 유린했다. 다르다니족의 압박이 더욱 심해지면서, 파에오니아인들은 마케도니아인과 연합하는 것 외에는 다른 선택지가 없었다. 그러나 이들의 연합에도 불구하고, 파에오니아인과 마케도니아인은 패배했다.[1] 발칸에 대한 켈트족의 침략으로 마케도니아와 파에오니아의 국력이 약해진 후, 이 지역에서 다르다니족의 정치적, 군사적 역할이 커지기 시작했다. 다르다니족은 파에오니아 지역까지 그들의 국가를 확장했고, 파에오니아는 역사에서 완전히 사라졌다.[1] 기원전 230년 롱가루스가 이끄는 다르다니족은 파에오니아인으로부터 빌라조라를 점령했다.[1]7. 3. 로마 제국의 흡수
기원전 280년, 갈리아 침략자들이 브렌누스의 지휘 아래 파에오니아 땅을 유린했다. 다르다니족의 압박이 더욱 심해지면서, 파에오니아인들은 마케도니아인과 연합하는 것 외에는 다른 선택지가 없었다. 그러나 이들의 연합 노력에도 불구하고, 파에오니아인과 마케도니아인은 패배했다. 발칸에 대한 켈트족의 침략으로 마케도니아와 파에오니아의 국력이 약해진 후, 이 지역에서 다르다니족의 정치적, 군사적 역할이 커지기 시작했다. 다르다니족은 파에오니아 지역까지 국가를 확장했고, 파에오니아는 역사에서 완전히 사라졌다. 기원전 230년 롱가루스가 이끄는 다르다니족은 파에오니아인으로부터 빌라조라를 점령했다.기원전 217년, 마케도니아 왕 필리포스 5세는 다사레티아와 파에오니아의 분리된 지역을 자신의 제국에 통합하고 병합하는 데 성공했다. 불과 70년 후(기원전 168년), 로마 군단이 마케도니아를 정복했고, 마케도니아라는 이름을 딴 새롭고 훨씬 더 큰 로마 속주가 형성되었다. 악시오스 주변의 파에오니아는 새로 구성된 로마 마케도니아 속주의 두 번째와 세 번째 구역을 각각 형성했다. 수세기 후 디오클레티아누스 치하에서 파에오니아와 펠라고니아는 일리리쿰 관할구에 속하는 마케도니아 세쿤다 또는 마케도니아 살루타리스라는 속주를 형성했다.
참조
[1]
웹사이트
Ptolemy's Geography 3.13.39
https://penelope.uch[...]
2021-09-14
[2]
서적
The Library, Books 16-20: Philip II, Alexander the Great, and the Successors
Oxford University Press
2019
[3]
서적
A Companion to Ancient Macedonia
https://books.google[...]
John Wiley and Sons
[4]
웹사이트
Paeonia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5]
서적
Macedonian Legacies
Regina Books
2008
[6]
서적
The Poems of Exile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5
2005
[7]
문서
Geography
[8]
서적
The Persian Empire: A Corpus of Sources from the Achaemenid Period
https://books.google[...]
[9]
서적
Early symbolic systems for communication in Southeast Europe, Part 2
[10]
서적
"The Landmark Thucydides: A Comprehensive Guide to the Peloponnesian War"
[11]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Martin Percival Charlesworth
[12]
서적
An Inventory of Archaic and Classical Poleis: An Investigation Conducted by The Copenhagen Polis Centre for the Danish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13]
문서
Thrace in the Graeco-Roman world
[14]
서적
The Histories (Penguin Classics)
[15]
서적
The Histories (Penguin Classics)
[16]
서적
The Histories (Penguin Classics)
[17]
서적
The History of the Ancient World: From the Earliest Accounts to the Fall of Rome
[18]
문서
Encyclopædia Britannica
[19]
간행물
Oppidum celetrum: ο Λιμναίος οικισμός του Δισπηλιού Καστοριάς
http://ejournals.epu[...]
Society for Macedonian Studies
1998
[20]
논문
The Ancient Kingdom of Paionia
[21]
문서
[22]
문서
[23]
서적
Gli Indoeuropei e le origini dell'Europa
Il Mulino
[24]
뉴스
The Ancient Kingdom of Paionia
[25]
문서
Herodotus V, 13
[26]
문서
Iliad II, 848
[27]
문서
Pausanias 5.1, 3-5
[28]
웹사이트
Paeon
https://www.perseus.[...]
[29]
서적
A Companion to Ancient Macedonia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1-07-07
[30]
서적
The Oxford Classical Dictionary
[31]
웹사이트
Persian influence on Greece (2)
https://www.livius.o[...]
2014-12-17
[32]
서적
A History of the Greek City States, 700–338 BC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3]
서적
A History of Macedonia: 550–336 B.C
Clarendon Press
[34]
서적
A History of Macedon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5]
서적
Alexander the Great in his World
Wiley-Blackwell
[36]
서적
The Greek world, 479–323 BC
Routledge
2002
[37]
간행물
Library
https://www.perseus.[...]
[38]
문서
Catalogue of Greek Coins: Thessaly to Aetolia
2004
[39]
문서
A Guide to the Principal Gold and Silver Coins of the Ancients: From Circ. B. C. 700 to a. D. 1.
2009
[40]
웹사이트
Polyaenus, Stratagems of War, 4.12.3
http://www.attalus.o[...]
[41]
문서
Description of Greece Phocis and Ozolian Locri, 10.13.1
[42]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Volume 6: The Fourth Century BC
1994
[43]
문서
Catalogue of Greek Coins: Thessaly to Aetolia
2004
[44]
문서
A Guide to the Principal Gold and Silver Coins of the Ancients: From Circ. B. C. 700 to a. D. 1.
2009
[45]
서적
The Histories
https://books.google[...]
Digireads.com
2014-10-15
[46]
문서
Пеония
[47]
웹사이트
Thraco Macedonian Tribes, Derrones, ancient coins index with thumbnails - WildWinds.com
http://www.wildwinds[...]
wildwinds.com
2014-10-15
[48]
웹사이트
Ancient Mediterranean and Europe: The Paones.
http://www.allempire[...]
allempires.com
2014-10-15
[49]
서적
Introduction générale à l'étude des monnaies de l'antiquité
1979
[50]
웹사이트
Mbretër Ilirë, 2400 Vjet Më Parë, Në Maqedoninë E Sotme
http://www.forumishq[...]
forumishqiptar.com
2014-10-15
[51]
웹사이트
I/63 Paionian (512–284 BC)
https://web.archive.[...]
fanaticus.org
2014-10-15
[52]
문서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Langarus"
Boston
1867
[53]
서적
Macedonia: Cultural Heritage
https://books.google[...]
Misla
2014-10-15
[54]
서적
Macedonian Legacies: Studies in Ancient Macedonian History and Culture in Honor of Eugene N. Borza
https://books.google[...]
Regina Books
2008
[55]
문서
Herodotus VII, 185
[56]
웹사이트
The unknown Paeonian world
https://www.academia[...]
academia.edu
2014-10-15
[57]
문서
v. 12
[58]
문서
Historia Numorum
1887
[59]
문서
1988
[60]
문서
Livy xiv. 29.
[61]
웹사이트
The Persian Empire: A Corpus of Sources from the Achaemenid Period
https://books.google[...]
[62]
문서
Geography
[63]
서적
A Companion to Ancient Macedonia
https://books.google[...]
John Wiley and Sons
[64]
웹인용
Paeonia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65]
서적
Macedonian Legacies
Regina Books
2008
[66]
서적
The Poems of Exile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5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